본 전공과정의 교육목표는 변천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의 최신 이론과 방법을 습득, 연구하는 교육전문인을 양성한다는 본 교육대학원의 교육목표를 성실히 수행하며, 국어교육의 주체적 담당자를 재교육하고 양성함을 주된 목표로 설립 되었다.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.
- 첫째국어학·국문학·국어교육 분야의 전공강좌를 통하여 선진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을 익힘으로써 중등학교 국어과 교육을 바르게 정립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다.
- 둘째교육의 이론과 현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변화하는 국어과 교육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다.
- 셋째국어과 교육의 연구방법론을 연마하여 독자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동시에 국어과 교육을 주체적·창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현장교육 연구자를 양성하는 데 있다.
교육과정
구 분 | 공 통 과 목 (1기) | 전 공 과 목 (2기 ~ 5기)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학년도 | 학기 | 교 직 | 일 반 교 육 학 | 과 목 명 | 비 고 (기본이수, 교과교육) |
|
2013 | 1 |
|
|
국어이해표현교육론 연구 | * 기본이수5 | |
한국고전소설교육연구 | 기본이수4 | |||||
한국현대문학사 교육연구 | 기본이수3 | |||||
학교문법지도법 | 기본이수2 | |||||
국어학특강 | ||||||
2 |
|
|
국어통사의미연구 | 기본이수2 | ||
국어과논술교육론연구 | * 교과교육 | |||||
문학교육연구 | * 기본이수4 | |||||
한국문학특강 | ||||||
한국문학비평교육연구 | ||||||
2014 | 1 |
|
|
국어과교육론연구 | * 기본이수1 | * 교과교육 |
한국고전문학사 교육연구 | * 기본이수3 | |||||
한국현대시교육연구 | ||||||
국어음운연구 | ||||||
2 |
|
|
국어사연구 | * 기본이수2 | ||
한국고전시가교육연구 | 기본이수4 | |||||
한국현대소설교육연구 | 기본이수4 | |||||
국어과교육과정 및 교재론 연구 | * 교과교육 | |||||
“*”표의 기본이수과목과 교과교육영역은 반드시 개설.